“왜 중국 축구는 몰락했나? 일본 기자가 본 ‘전체주의의 한계’”
중국 축구의 몰락 이유를 일본의 베테랑 축구 기자가 ‘전체주의 체제’에서 찾았다. 1974년부터 축구 현장을 누벼온 고토 다케오 기자(72)는 19일 일본 축구 전문 매체 사커 크리티크에 칼럼을 기고하며, 일본과 중국 간 축구 역전 현상에 대한 분석을 내놓았다.
그는 칼럼에서 “중국은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금메달 40개를 따내며 미국과 경쟁할 정도로 스포츠 강국이다. 그런데 왜 축구만은 실패했을까?”라며 의문을 제기했다.
중국 축구의 영광과 추락
고토 기자는 과거 중국 축구가 일본을 압도하던 시절을 회상하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그는 “중국은 20세기 초까지만 해도 아시아 축구 강국이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첫 출전과 2006년 아시안컵 준우승이라는 성과를 거두며 축구 발전의 청사진을 그렸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후 중국 축구는 정체를 넘어 퇴보의 길로 접어들었다.
특히 2011년, 축구를 열렬히 좋아한다고 알려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축구 발전을 국가적 프로젝트로 채택하며 분위기가 달라지는 듯했다. 그는 중국의 월드컵 개최와 우승을 목표로 하는 장기 플랜을 세웠고, 이에 따라 지방정부와 대기업들은 앞다퉈 막대한 자금을 축구에 투자하기 시작했다. 고토 기자는 “유럽과 남미의 유명 선수와 세계적인 감독들이 중국 슈퍼리그로 몰려왔고, 최신 훈련 시설과 유스 시스템도 구축됐다”고 설명했다.
실패로 돌아간 거대한 투자
그러나 고토 기자는 이 거대한 프로젝트가 실패로 끝났다고 진단했다. 그는 “부동산 시장의 붕괴와 대기업들의 경영난으로 구단 운영이 악화됐다. 선수 급료 미지급 사태가 잇따랐고, 코로나19 팬데믹까지 겹치며 외국인 선수들이 중국을 떠났다”고 분석했다.
중국 축구계의 부패 문제도 문제였다. “투자가 급격히 몰리면서 부정부패가 만연했고, 협회 간부부터 감독까지 수많은 인사가 비리 사건으로 구속됐다”고 고토 기자는 지적했다.
광저우 헝다(현 광저우FC)의 사례는 중국 축구 몰락의 상징적 사건이었다. 한때 아시아 챔피언스리그에서 일본을 압도하던 팀이었지만, 모기업 헝다 그룹의 경영 파탄으로 재정난에 시달리며 2부리그로 추락했다.
전체주의 체제가 낳은 실패
고토 기자는 이러한 실패의 근본적인 원인을 중국의 정치 체제에서 찾았다. 그는 “축구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자금 투입에도 불구하고, 전체주의 체제 하에서 체계적인 장기 계획과 자율성이 부족했다”고 분석했다. 결국, 거대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중국 축구는 내실을 다지지 못한 채 붕괴했다는 것이다.
그는 칼럼을 마무리하며 “중국은 여전히 축구를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요인과 체계적 부재가 해결되지 않는 한, 진정한 발전은 어려울 것”이라고 평가했다.
중국 축구, 부활 가능할까?
중국 축구가 몰락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거대한 자금력과 국가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중국 축구의 부활은 요원할 것이라는 것이 고토 기자의 결론이다.
“중국 축구 몰락의 뿌리는 ‘전체주의’? 일본 기자의 날카로운 진단”
중국 축구의 몰락을 두고 일본의 베테랑 축구 기자 고토 다케오(72)는 체제적 한계를 지적하며 “전체주의의 폐해”를 원인으로 꼽았다. 사커 크리티크에 기고한 칼럼에서 고토 기자는 중국 축구가 지속적으로 실패하는 이유를 분석하며, 개인 판단력을 요구하는 축구와 통제 중심의 체제가 근본적으로 어울리지 않는다는 주장을 펼쳤다.
전체주의와 축구의 불협화음
고토 기자는 “20세기 후반 소련과 동독은 올림픽에서 다수의 금메달을 따낸 스포츠 강국이었지만, 축구에서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언급하며, 축구의 특성을 짚었다. 그는 “축구는 세트 플레이를 제외하면 감독이 모든 상황을 지시할 수 없다. 선수들이 필드 위에서 실시간으로 드리블, 패스, 슈팅 등 수많은 판단을 내리는 것이 핵심”이라며, “하지만 전체주의 국가에서는 개인 판단력을 키우는 교육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고토 기자는 중국 내 교육과 직장 환경에서 시진핑 주석 어록의 암기가 강요되는 현실을 비판하며 “개인이 스스로 사고하고 판단하는 것을 금기시하는 체제에서는 축구가 발전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과거 사례에서 찾은 교훈
그는 1950년대 유럽 축구를 지배했던 헝가리 대표팀의 사례를 들며, 이들이 성공했던 배경에 대해 “동유럽 국가들이 자유화로 전환되던 시기와 맞물렸다”고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고토 기자는 중국 축구가 부활하려면 “시진핑 체제가 붕괴되고 자유화가 실현되는 날이 와야 한다. 하지만 이는 아득히 먼 미래의 일”이라고 결론지었다.
중국 축구, 과거와 현재
중국 축구는 한때 아시아 강국으로 군림했던 시절이 있었으나, 현재는 과거의 영광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본선 진출과 2006년 아시안컵 준우승이라는 성과 이후, 부동산 시장 붕괴와 부패 사건 등으로 축구계가 내리막길을 걷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선수 급료 미지급, 외국인 선수 이탈,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 등 악재가 겹치며 중국 축구의 경쟁력은 더욱 하락했다. 한때 아시아 정상급 팀으로 군림했던 광저우 헝다(현 광저우FC)는 재정난으로 2부리그로 추락했고, 중국 축구 협회와 관련된 부패 스캔들로 인해 체계적인 재건이 더욱 어려워졌다.
일본과의 리턴 매치…중국 축구의 갈림길
중국 축구는 지난 9월 일본 원정 경기에서 0-7이라는 충격적인 대패를 당하며 팬들에게 큰 실망을 안겼다. 그러나 최근 2연승을 기록하며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 19일 저녁, 중국 샤먼 스타디움에서 일본과 리턴 매치를 치르게 되는 중국 대표팀은 자존심 회복을 노리고 있다.
현재 중국은 C조 4위에 머물며 승점 6점을 기록 중이다. 2위 호주, 3위 사우디아라비아와 승점이 같지만, 득실차에서 밀렸다. 반면 일본은 4승 1무로 승점 13점을 기록하며 조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중국 축구의 미래는?
고토 기자의 분석은 중국 축구가 처한 근본적인 문제를 날카롭게 짚어냈다. 과연 중국이 체제적 한계를 극복하고 축구 강국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그 답은 먼 미래에나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다가오는 일본과의 경기에서 중국이 자존심 회복에 성공할지 주목된다.